지식/Linux19 Samba 설정 samba는 /etc/samba/smb.conf 파일에서 공유할 디렉토리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samba는 smbpasswd 라는 명령어로 samba user에 대한 암호를 변경할 수 있는데, 암호 변경을 시도했을때 아래와같은 에러메세지가 뜬다면 samba user가 없는 상태이니 -a 옵션으로 user를 추가하면 된다. ~ $ sudo smbpasswd mySmbUser New SMB password: Retype new SMB password: Failed to find entry for user mySmbUser. ~ $ sudo smbpasswd -a mySmbUser New SMB password: Retype new SMB password: Added user mySmbUser... 2023. 12. 3. Raspberry Pi - 디지털 액자 만들기 gThumb 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관리하는 GUI 프로그램 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저장된 사진을 슬라이드쇼로 보여줄 예정입니다. 먼저 gThumb를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gThumb gThumb 실행시 아래처럼 옵션을 주면 최근 사용한 폴더의 사진을 전체화면 슬라이드쇼로 자동 시작하게 됩니다. # gthumb -f -s - f : fullscreen - s : slide show 재부팅을 하더라도 슬라이드쇼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싶다면 위 명령어를 스크립트로 만들어 두면 됩니다. # vi myframe.sh gthumb -f -s # sudo vi /etc/profile /home/pi/myframe.sh 추가 화면이 꺼지는 것을 막기 위한 설정도 해줍니다. $ .. 2023. 6. 10. Raspberry Pi - 디지털 액자 (Dynaframe) 기존에는 라즈베리파이로 디지털액자를 만들기 위해 gThumb 를 사용했으나, DynaFrame이 훨씬 더 쉽네요. https://github.com/Geektoolkit/Dynaframe3 아래 명령어로 설치 후 재부팅까지 완료 됩니다. # sudo wget https://github.com/Geektoolkit/Dynaframe3/releases/download/2.19/install.sh && bash install.sh; rm -f install.sh ; sudo reboot 설치 후 https://(라즈베리파이 IP):8000 로 접속하면 DanaFrame 동작에 대해 여러가지 설정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신 버전 Raspberry Pi OS인 Bullseye 에선 사진은 정상적으로 .. 2023. 6. 10. Raspberry Pi - SSH 설정 SSH는 기존에 사용하던 Telnet 의 보안상의 문제로 암호화된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신 방식입니다. 리눅스 대부분 SSH 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으며, 라즈베리파이에서도 간단한 설정으로 SSH 서버를 활성화 시켜 터미널로 SSH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 sudo raspi-config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설정화면이 나오는데 아래 화면처럼 설정하면 됩니다. 1. Interfaceing Options 2. SSH 3. YES 2023. 6. 10. install Raspberry Pi OS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방법을 적업봅니다. Raspberry Pi OS 는 과거 Raspbian 이라고 불리던 Raspberry Pi 용 리눅스 OS의 새로운 이름입니다.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Download for Windows"를 클릭하면 윈도우용 Raspberry Pi Imager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건 Raspberry Pi OS를 온라인에서 다운로드해서 micro sd 카드에 저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다운로드한 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한 후 운영체제와 저장소를 선택한 다음 "쓰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자동으로 OS가 저장됩니다. 저장되는 OS는 최신버전인데, 라즈베리파이 버전.. 2023. 6. 10. Linux - GDB 사용법 gdb에선 배열이나 구조체의 이름을 프린트 함으로써 배열이나 구조체에 들어있는 값들을 모두 출력해서 확인 할 수 있다. (gdb) print array 그러나 구조체 배열이 너무 큰 경우는 모두 다 프린트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구조체 배열 중 확인이 필요한 특정 인자만 확인해볼 필요도 있다. 이런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gdb) set $i=0 (gdb) set $end=4 (gdb) while ($i p array[$i++].size > end 이걸 함수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gdb) set $i=0 (gdb) set $end=4 (gdb) define f > while ($i p array[$i++].size > end > end (gdb) f 2022. 4. 13. sed 사용법 sed 's/AAA/BBB/g' data.txt : data.txt 내의 AAA를 BBB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sed 's/\t/ /g' data.txt : data.txt 내의 탭 문자를 네 개의 space로 변환. sed '/AAA/d' data.txt : data.txt에서 AAA가 포함된 줄을 빼고 출력 sed '/AAA/!d' data.txt :AAA가 존재하는 줄만 출력 sed '5,10s/AAA//g' data.txt : 5~10라인에 있는 AAA를 삭제 2022. 3. 31. Raspberry Pi - iptables 라즈베리파이를 NAS나 웹서버등 각종 서버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 특정 ip만 접속을 허용하거나 반대로 특정 ip 의 접속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iptables를 사용하면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iptables는 arp나 이더넷 프레임보다는 ipv4에 적용하는 방화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처럼 하면 (차단할 IP 주소)의 접속은 차단된다. # sudo iptables -A INPUT -s (차단할 IP 주소) -j DROP 그러나 재부팅하면 설정된 iptables는 지워져서 다시 설정해야 하는데, iptables-persistent 로 이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tall iptables-persistent # sudo vi /etc/iptab.. 2022. 1. 23. Raspberry pi - minidlna 라즈베리파이에 사용하기 적합한 가벼운 dlna 서버가 있다. 음악,사진,비디오 파일을 네트워크상으로 기기들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TV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MiniDLNA(ReadyMedia)는 매우 간단하고 가벼운 서버로써 라즈베리파이에 이용하기 아주 좋다. 1. 설치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minidlna 2. 설정 $ sudo nano /etc/minidlna.conf friendly_name=Media Server # DLNA Server 이름 inotify=yes # 라이브러리 폴더의 파일이 추가/변경시 자동으로 목록 변경 db_dir=/home/pi/.minidlna # minidlna의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있는 디렉토리.. 2022. 1. 9. Raspberry pi - mopidy 설치 mopidy 설치 $ sudo apt-get install mopidy $ mopidy 2021. 5. 30. 이전 1 2 다음